지역별 - 완도
-
완도 청산도 국제슬로시티 상 수상
구들장논과 초분으로 대표되는 완도 청산도가 국제 슬로시티 상을 받았습니다. 국제슬로시티연맹은 지난 2007년 아시아 최초로 국제슬로시티가 된 완도군 청산도의 성공 사례를 높게 평가해 올해 농업 관광과 전통예술 보존정책 부문의 최우수 지역으로 선정했습니다. 국제슬로시티연맹은 매년 30개국, 230여 개 슬로시티 ...
박영훈 2017년 05월 13일 -
봄 여행주간 전남 관광객 573만여 명..41% 증가
올해 봄 여행주간 전남을 찾은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이어진 '봄 여행주간' 전남지역 관광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증가한 573만 4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시·군 별로는 여수가 가장 많았고 순천과 완도, 담양이 각각 뒤를 이...
문형철 2017년 05월 20일 -
'먹튀 논란' 출산장려금, 대책은?-R
◀ANC▶ 이른바 '먹튀 논란'을 일으키는시.군의 출산장려금 지급 실태가 파악됐습니다.지원금이 많은 곳에서 아이를 낳고, 몇달 뒤 거주지를 옮기는 건데, '출산'에 맞춰진 정책방향을 전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문연철 기자입니다. ◀END▶ ◀VCR▶ 적게는 둘째아이까지 20만원, 많...
양현승 2017년 05월 23일 -
'구들장 논' 함께 보존해요-R
◀ANC▶ '구들장 논'은 전통 난방 시설인 방구들을 응용해 만든 농경지입니다. 귀한 유산을 지켜나가기 위해 도시민들까지 나서고 있습니다. 박영훈 기자가 '구들장 논 보존을 위한1인 1계좌 갖기 운동'을 소개합니다. ◀END▶ ◀VCR▶ 서둘러 보릿대를 태우고 난 논, 칠순 농부의 손길...
박영훈 2017년 05월 26일 -
청산도 관광객 크게 늘어..20만 명 돌파
'구들장논'과 '초분' 등으로 유명한 완도 청산도를 찾는 관광객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올들어 완도군 청산도를 다녀간 관광객은 지난달 말을 기준으로 20만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만 7천 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완도군은 올해 청산도가 슬로시티 지정 10년을 맞은데다, 국제해조류박람회도 관광객 ...
박영훈 2017년 06월 03일 -
"원하는 의사가 없어요"..외면받는 섬-R
◀ANC▶ 섬 지역의 의료 인력 부족은 어제 오늘의 일은아닙니다. 그나마 자치단체가 운영중인 의료기관에 근무 희망자가 없어 장기간 공백이 생기는가 하면, 참신한 의료정책도 원점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박영훈 기자가 취재 ◀END▶ ◀VCR▶ 완도군 보건의료원, 원장실이 4개월 이...
박영훈 2017년 06월 05일 -
전남 김 생산량 증가..고흥만 감소
올해 전남지역 김 생산량이 황백화 현상 등 악조건 속에서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라남도는 올해 5월까지 7개월 동안 전남지역 김 생산량은 34만 2천 톤으로 지난해보다 7.8%, 생산액도 3천 9백여 억 원으로 18.8%가 늘었다며 특히 물김 1kg 가격이 1,157원으로 형성돼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
김종수 2017년 06월 06일 -
법보다 폐기물업체 사정이 중요?-R
◀ANC▶해양폐기물 불법 처리 실태, 이번에는 민간업체에게 쩔쩔매는 행정당국을 꼬집겠습니다.단속을 해야하는 공무원이 법과 원칙 대신 업체가 처한 현실적 어려움을 앞세운다면지도단속이 왜 필요할까요.신광하 기자입니다. ◀END▶ ◀VCR▶ 한해 처리량만 만5천 톤으로 해양폐기물이...
양현승 2017년 06월 16일 -
바다의 불청객..'괭생이모자반' 비상-R
◀ANC▶ 해마다 중국에서 밀려오는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이 문제입니다. 더우기 이같은 '괭생이모자반'이 이미 우리 해안에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비상이 걸렸습니다. 박영훈 기자가 현장 취재 ◀END▶ ◀VCR▶ 해남의 송호리 앞바다입니다. 양식장마다 4,5미터 길이의 해조류가 수염처럼 자라고 있습니...
박영훈 2017년 06월 24일 -
남해안 적조 발생 대비 훈련 예정
올해 남해안 적조 발생에 대비한 사전 훈련이 남해에서 잇따라 열립니다. 해양수산부는 전라남도 등과 함께 오는 28일 완도에서 30일에는 여수에서 황토 살포 방제와 수류 방제, 양식어류 사전 방류 등 적조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합니다. 올해 적조는 다음 달 중순부터 남해상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D▶
양현승 2017년 06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