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아보기
-
순천 타이어 가게 화재..1시간여 만에 진화
오늘(18) 오전 10시쯤 순천시 조례동 타이어 가게의 폐타이어 더미에서 불이 나 1시간여 만에 꺼졌습니다. 이 불로 소방인력 51명과 장비 18대가 투입됐지만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과 경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강서영 2022년 08월 18일 -
오를 기미 없는 '쌀값'.."정부 수급조절 실패 비판"
◀ANC▶ 오늘(18)은 쌀의 날인데요. 올해도 쌀 생산이 대풍년을 맞으면서 재고가 줄지 않다 보니 폭락한 쌀 가격이 오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농업 관련 단체들은 정부의 미흡한 쌀 수급정책으로 쌀값이 폭락했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VCR▶ 순천시 도사동에 위치한 미곡 건...
강서영 2022년 08월 18일 -
19일용)"시간은 없고, 고민은 많고"...'고향사랑기부제' 준비 난항
◀ANC▶ 열악한 지방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고향사랑기부제'가 넉 달 뒤부터 시행됩니다. 하지만, 시행령 제정이 늦어지면서 지자체의 행정절차가 지연되고 있고, 답례품을 둘러싼 과열 경쟁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지난해 법이 제정돼 내년 1월 1일 시행을 앞두고 ...
문형철 2022년 08월 18일 -
순천시의회, 도심 관통 경전선사업 반대 결의대회
순천시의회도 순천 도심을 관통하는 경전선 전철화사업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순천시의회는 오늘(18) 순천시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현행대로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면 열차 운행 횟수가 증가하면서 도시 경관이 훼손되고 소음과 진동 피해가 발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순천시의회는 이미 전철화가 진행된 남원과 광...
강서영 2022년 08월 18일 -
여수시.전남대, 도시재생 활성화 MOU체결
여수시와 전남대학교가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여수시와 전남대학교는 '도시재생 지역 내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여수시 도시재생 정책사업 가치 공유 및 협력 지역 내 문화예술 분야 활성화를 위한 특화 지원사업 및 프로그램 발굴 등을 약속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
김주희 2022년 08월 18일 -
2026년까지 도내 '유기농 생태마을' 100곳으로 확대
전라남도가 올해 '유기농 생태마을' 선정 절차에 들어갑니다. 전라남도는 농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유기농 생태마을'을 1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올해는 이달 24일까지 신청을 받아 다음 달 서류심사와 현장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유기농 생태마을은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면서 생태...
문형철 2022년 08월 18일 -
순천 타이어가게 화재..1시간여 만에 진화
오늘(18) 오전 10시쯤 순천시 조례동 타이어 가게의 폐타이어 더미에서 불이 나 1시간여 만에 꺼졌습니다. 이 불로 소방인력 51대와 장비 18대가 투입됐지만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소방과 경찰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강서영 2022년 08월 18일 -
여수 시민협, "여수시의회, 전문성을 갖춰 달라."
여수시민협이 여수시의회에 견제와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춰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여수시민협은 민선 8기들어 처음으로 열린 여수시의회 제222회 임시회와 관련해 다양한 시 현안 안건과 시민의 눈높이에 맞는 조례안이 의결됐고 시민 공감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한 10분 발언도 있었지만 본회의장에서 고성이 ...
김주희 2022년 08월 18일 -
여수시, 공공기관 유치에 파격 지원
여수시가 정부 산하 기관과 전남도 단위 기관 유치에 파격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여수시는 지역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에 토지 무상제공, 건축비와 임대비, 이주정착 장려금, 직원 자녀 장학금, 주택자금 대출이자, 체육‧문화 활동비 등 파격 지원을 내세워 본격적인 공공기관 유치활동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특히 여...
김주희 2022년 08월 18일 -
"시간은 없고, 고민은 많고"...'고향사랑기부제' 준비 난항
◀ANC▶ 열악한 지방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고향사랑기부제'가 넉 달 뒤부터 시행됩니다. 하지만, 시행령 제정이 늦어지면서 지자체의 행정절차가 지연되고 있고, 답례품을 둘러싼 과열 경쟁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문형철 기자입니다. ◀VCR▶ 지난해 법이 제정돼 내년 1월 1일 시행을 앞두고 ...
문형철 2022년 08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