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광주시 등이 광주공항 내
국제선 임시 취항을 요구한 이후
무안군과 군민들이 처음으로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국토부에 무안공항 조기 정상화를 위해
직접 나서달라고 요구했는데요.
군공항 이전과는 결부시키지 말라면서도
정작 구체적인 대책은 내놓지 못했습니다.
서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광주시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운항 추진 방침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김영록 전남지사.
다급해진 무안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이
국토부에 직접 관련 책임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최상의 안전시설을 갖춘 공항으로
조기 정상화에 집중해야 할 때라는 겁니다.
◀ INT ▶ 박일상/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장
이용객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최상의 안전시설을 구축하고, 국토부가
나서서 안전성을 적극 홍보하라.
이들은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요구에 대해
"지역 간 불필요한 갈등과
실익 없는 행정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 INT ▶ 이호성 / 무안군의회 의장
광주시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그런 국제선 취향은 저희 입장에서는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S/U 무안군과 군민들이 함께한
첫 기자회견으로 주목받았지만 이번에도
공항 활성화와 관련해 군에서 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더욱이 무안군 내 광주 군공항 이전 찬성
단체에선 이번 기자회견 개최 사실조차
몰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재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가
만들어질 때부터 군공항 이전 반대 성향의
인사들로만 구성돼 군민 전체를 대표하지
못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 SYNC ▶ 김용봉 / 광주 민간·군 공항 무안이전 대책위원회 대표
공항 활성화를 정말로 무안군에서 원한다면
우리 찬성 단체에도 좀 알리고, 우리 찬성 단체
인원들도 거기 활성화 위원회에 몇 명이라도
포함시켜 주고 전혀 이런 것이 차단돼 버렸어요.
이용객들의 불안감을 덜어내기 위해
무안 역시 군공항 이전을 포함해
어떤 문제도 전향적으로 논의에 나서겠다는
적극성이 필요한 상황.
무안군의 입장은 요지부동입니다.
오히려 참사를 이용해 군공항을 이전하려
한다며 전라남도와 광주시 등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INT ▶ 김산 / 무안군수
현재 이렇게 (공항) 정상화하는데 군 공항을 가져다가 거기다 결부시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전라남도는 오는 7월까지 무안공항
활주로 연장공사가 완료되면
이르면 8월 공항 정상화에 나서겠다는 입장.
전남도의회도 공항 활성화 관련
보고를 잇따라 개최하는 등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 되고 있습니다.
MBC 뉴스 서일영입니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