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아보기
-
기중기 노사 갈등 증폭-R
◀ANC▶ 오늘은 '근로자의 날'이지만 여수지역 기중기 업체 근로자들은 우울하기만 합니다. 노사 갈등으로 월급도 제대로 받지 못한데다 일부 직장은 폐쇄, 일부 근로자들은 해고통보까지 받은 상탭니다. 나현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셧 다운기간인 여수 국가산업단지. 기중기 여러 대가 공장 곳곳에서 정비를 ...
나현호 2014년 05월 01일 -
세월호 기름유출, 2차피해 현실로..(R)
◀ANC▶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남모르게 속앓이를 하는 사람들이 또 있습니다. 바로 사고해역 인근지역 어민들인데요. 세월호에서 유출된 기름이 양식장과 해안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김양훈 기자가 사고해역을 다녀왔습니다. ◀END▶ 세월호가 침몰된 진도 조도 해역입니다. 검붉은 기름 띠가 곳곳에 떠 다닙니다. 맹...
김양훈 2014년 05월 01일 -
주민 참여형 '마을특화사업' 박차
여수시가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해 주민 참여형 '마을특화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여수시는 '마을특화사업' 2년차를 맞아 고소동 '천사벽화 거리'에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을 추가로 시행하고, 덕충동 곤충생태 체험장 조성 등 10개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여수시는 또 어촌마을 관련 특화사업으로 잘피 ...
박민주 2014년 05월 01일 -
해조류 박람회 '힘겨운 순항'-R
◀ANC▶ 완도 국제 해조류 박람회가 '세월호 침몰사고'로 목표 관람객 유치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입니다. 국민적 애도 분위기 속에 적극적인 홍보도 하기 힘든 형편이어서 박람회 주최측이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김 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지난 11일 개막한 완도 국제 해조류 박람회. 각종 해조류의 생태를 전시...
최우식 2014년 05월 01일 -
광양시도 합동분향소 운영
전국적으로 세월호 희생자 추모의 열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광양지역에도 합동 분향소가 차려졌습니다. 광양시는 시청 앞 시민광장에 분향소를 마련하고 안산의 합동영결식이 마무리 될 때까지 오전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분향소는 범시민적 참여의 의미에서 광양시민단체 협의회와 광양청...
박광수 2014년 05월 01일 -
농번기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 호응
순천시가 농번기를 맞아 농민들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을 추진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순천시는 올해 27개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오는 6월까지 한개 마을당 20일씩 조리 인력 인건비 등으로 110만원의 공동 급식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는 농번기철을 맞아 지원되는 이같은 공...
김종태 2014년 05월 01일 -
순천노인회, '특혜집단 규정' 허석 후보 규탄
순천시노인회가 성명서를 통해 "노인들을 '소수의 특혜집단'으로 규정한 허석 순천시장 후보를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노인회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순천시가 조례에 근거해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순천만정원 평생무료입장' 신분케이스를 배포했다"면서 "하지만 허석 후보는 이를 두고 '소수의 특혜집단'에게 평생무료...
김종태 2014년 05월 01일 -
지역 쌀, '많이 먹읍시다'-R
◀ANC▶ 순천지역 쌀 생산량에 비해 지역 소비량이 늘지 않아 농협이 재고 쌀 처리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역 음식업소들이 지역의 쌀과 농산물을 소비하겠다고 나서면서 로칼푸드 활성화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게 됐습니다 김종태 기자. ◀END▶ 순천시 해룡면 농협 창고 농협이 수매한 쌀이 가득 들어...
김종태 2014년 05월 01일 -
성희롱 예방교육기관 사칭 '방문판매' 주의
성희롱 예방교육기관을 사칭한 방문판매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관계 당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고용노동부 여수지청은 최근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은 단체라며 무료 성희롱 교육을 핑계로 사업장에 방문해 교육과는 전혀 관계 없는 상품을 판매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수지청은 또, 직장내 성희롱...
나현호 2014년 05월 01일 -
벼농사 새끼우렁이 농법 확대
친환경 유기농 정착을 위해 새끼우렁이 농법이 확대됩니다. 전남도는 올해 친환경 벼농사 정착을 위해 지난해보다 만 3천ha 늘어난 9만 3천ha까지 새끼우렁이 농법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전남도는 새끼우렁이농법은 친환경 제초효과와 생산비 절감에 큰 성과가 있다며,앞으로도 전체 재배면적의 55%까지 확대할 계획입니...
전승우 2014년 05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