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MBC

검색

반갑지 않은 쌀 풍년, 대책은?-R

김주희 기자 입력 2015-11-13 07:30:00 수정 2015-11-13 07:30:00 조회수 0



           ◀ANC▶
올해 쌀 풍작과 식습관의 변화,
저가 수입 쌀들이 국내 시장을 잠식하면서
농도 전남의 기반 산업인 쌀 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위기의 쌀 산업, 돌파구는 무엇인 지
우리 농업 전반에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주희 기자입니다.
           ◀END▶
           ◀VCR▶
올해 전국 쌀 재고량은 130만톤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적정 재고량 80만톤을 크게 웃도는 량입니다.
이처럼 국내 쌀 산업이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것은 정부의 안일한 대응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변동 직불제 등 사후 대응 방식이 아닌
선제적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INT▶ 
(수도작 농가들을 위한 자생력을 키우는데 좀 주안점을 둬서 정책이 실시됐으면 이런 것이 좀 반복되지 않고 고리가 끊어지지 않을까 이런 생각해 봅니다.)
정부의 재고 쌀 시장 격리 등 방안도
사실상 빗나간 예측이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INT▶ 
(가을 쌀 실제 수확량도 늘어나고 또 쌀 가격의 안정도 예상보다 훨씬 더 하락하고 있고 그래서 정부가 추가적인 시장 격리 추가적인 대책을 통해서 쌀값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농민단체는 현재
국내 재고 쌀이 늘어나는 근본 원인은
저가 수입 쌀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가공용 쌀 소비를 확대하고
해외 원조도 다시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INT▶
(대북지원 40만톤 할때 10만톤을 시장에서 구매할 경우 쌀 80kg한 가마당 7-8천원의 가격 상승효과가 있다고 합니다.정부 입장에서는 재고미 처리할 수 있어 좋을 것이고 농민입장에서는 쌀값이 안정돼서 좋을 것이고...)
지역 농협들의 광역 단위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었습니다.
           ◀INT▶
(농협이 생산자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본연의 역할에 더 충실해 진다고 하면 서로 상생하는 쌀 소비 문화랄까 뭐 이런게 증진될 것으로 이렇게 보고...)
대풍을 이루고도 시름에 잠길 수 밖에 없는 농민들.
식량 주권 사수를 위해서는
정부가 더 근본적이고 선제적인 정책 마련에
고민해야 할 싯점입니다.
MBC NEWS 김주희입니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