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MBC

검색

문화

여수)400km 바닷길 넘어..울릉도 오갔던 옛 전라도민들..R

강서영 기자 입력 2021-10-25 20:40:00 수정 2021-10-25 20:40:00 조회수 0

◀ANC▶

멀리 떨어진 전라남도의 섬 주민들이

조선시대부터 울릉도˙독도를 오가며

벌채와 어로 활동을 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905년, 독도가 주인 없는 섬이었다는

일본의 주장을 반박할 또 다른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오늘 독도의 날을 맞아 강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어업용 밧줄을 만들 때 불렀던

여수 거문도의 노동요 '술비소리'의 한 구절입니다.



C.G.)남해의 거문도와 동해의 울릉도는

400km 넘게 멀리 떨어진 섬인데도,



C.G.)노랫말에는 울릉도와의 교류를 암시하듯

'울릉도'가 여러 차례 언급됩니다.



실제로, 1882년 고종의 명에 따라 발간한

울릉도검찰일기에는 울릉도 거주자 140명의 82%인

115명이 낙안과 흥양현 삼도, 초도 출신으로 나와 있습니다.



낙안은 현 순천시,

흥양현은 현 고흥군과 여수시 일부로,

모두 전남 남해안 도시들을 뜻합니다.



전문가들은 구한말 이전부터

전남 해안과 섬 주민들이 조선용 목재와 미역 채취를 위해

해류를 타고 울릉도와 독도를 오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독도라는 이름도 돌을 '독'이라 부르던

전라도 사투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입장입니다.



◀SYN▶

*정은성 / 호남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남해안에 있는 돌섬들이 독섬이라는 지명을 갖고 있거든요.

우리 고향에서 봤던 비슷하게 생긴 섬, 돌로 된 독섬이

있었다. 이런 유래에서 오늘날 독도라는 지명이..."



전남지역에서는 벌써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개척한 조상들을 연구하고

그 뜻을 기리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고흥군은 고문헌 속 '흥양현'이

고흥의 옛 지명임을 감안해 울릉도˙독도 관련

연구 용역과 관광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여수의 한 초등학교는

조상들의 울릉도와 독도 개척 정신을 기리고,

독도를 올바르게 가르치자는 취지에서

'독도 학교'를 세웠습니다.



◀INT▶

*김대진 / 여수남초등학교장*

"여수가 특히 독도 울릉도 개척사와

관계가 있다 보니 우리가 먼저 시작해야되겠다는.."



1905년 당시,

독도는 주인이 없는 섬이었다고 주장하는 일본.



구한말 전부터 울릉도 일대를 오갔다는

전라도 사람들의 기록이 일본의 주장을 반박할

또 다른 사례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강서영입니다.

◀END▶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

강서영 riverstop@ysmbc.co.kr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