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아보기
-
'일자리 영향평가제' 도입
전라남도가 일자리 창출효과를 재정계획에 반영하는 '일자리 영향평가제'를 도입합니다. 전라남도는 '일자리정책 심의위원회'를 설치해 5억원 이상의 각 부서사업을 연 2회 심의하고 그 결과를 평가.분석해,예산 편성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전라남도는 예산편성 단계에서는 일자리 창출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사...
전승우 2014년 09월 15일 -
이정현, "추석 보너스 반납하겠다"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국회의원이 받는 추석 상여금 387만여원을 반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최고위원은 오늘 인천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석 연휴 가장 많이 들었던 비난 중 하나가 ‘ 추석 보너스 380만원을 받고 배부르냐’라는 말이었다"며 이 돈을 국회의장실에 전달해 반납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최고...
전승우 2014년 09월 15일 -
조직폭력배 낀 산 도박단 무더기 적발
조직폭력배가 낀 산 도박단이 무더기로 붙잡혔습니다. 여수경찰서는 여수 율촌과 화양 등의 야산에서 산 도박장을 열고, 한 판에 5백만 원에서 2천 만 원의 판돈이 걸린 일명 '도리짓고땡' 도박판을 벌이면서 수수료 명목으로 수천만 원을 챙긴 혐의로 46살 김 모 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조직폭력배와 도박 피의자 ...
나현호 2014년 09월 15일 -
경로당 환경개선사업 전수조사
광양시가 관내 등록된 경로당에 대한 환경 개선을 위해 전수조사에 나섭니다. 광양시는 이달 말까지 관내 등록 경로당 306개소를 대상으로 경로당 시설물 실태와 애로사항 파악 등 2015년 환경 개선 사업을 위한 대상지 전수조사를 실시합니다. 광양시는 해마다 9000여만 원의 시비를 들여 경로당 30여 개소에 대한 환경개...
김주희 2014년 09월 15일 -
순천 공공시설 주차장 유료화 계획 무산
순천시가 장기주차 예방을 위해 시행하려던 공공시설 주차장 유료화 계획이 무산됐습니다. 순천시는 지난 1월 개축 공사를 마친 연향도서관과 팔마체육관 주차장에 장시간 주차하는 차량이 늘자 효율적인 차량 관리를 위한 주차장 유료화 계획을 수립하고, 의회에 이에 필요한 예산 1억5천만 원을 편성해 줄 것을 요구했습...
김종태 2014년 09월 15일 -
경찰, 변사사건 종합 개선대책 마련
순천에서 발생한 유병언 회장의 변사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실추된 신뢰회복을 위한 '변사사건 종합 개선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경찰청은 최근 지휘부 워크숍을 열고 타살이 의심되거나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는 사건을 '중점관리 변사사건'으로 지정해 수사현장에 검시 전문인력을 투입하는 한편, 반드시 담당 경찰서 형...
문형철 2014년 09월 15일 -
대불산단 뿌리기업 기대감-R
◀ANC▶ 대불산단이 뿌리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됨에 따라 중소기업들이 공정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어떤 사업인지 최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뿌리산업 특화단지는 공단의 주력 업종이 밀집한 우수단지에 환경 에너지 공정설비 등을 공동시설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전국에서 지난해 4개...
최진수 2014년 09월 15일 -
다양한 정원 '한평정원 페스티벌'- R
◀ANC▶ 전문작가와 학생, 일반인들이 만든 70여 점의 다양한 정원작품들이 시민들에게 선보였습니다. 새로운 정원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한 '한평정원 페스티벌' 현장에 문형철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VCR▶ 성벽과 꽃들이 조화를 이뤄 오묘하면서도 평온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순천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한 정원작품...
문형철 2014년 09월 15일 -
농업 경영체로 등록해야 유기질 비료 지원
내년부터는 농업 경영체로 등록해야 유기질 비료를 지원받게 됩니다. 전라남도는 중복지원을 막기 위해 내년부터 농업 경영체로 등록되지 않은 농가는 유기질 비료 지원사업에서 제외된다며 지원 희망농가는 이달 말까지 등록을 마쳐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농업 경영체 등록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사무소에 신청서를 작...
전승우 2014년 09월 15일 -
도 정기분 재산세 천 217억 원
전라남도가 올해 9월 정기분 재산세 천 217억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재산세 부과액보다 9.2% 늘어난 것으로 전남 공동혁신도시 개발과 전남 동부권의 신규 아파트 분양, 개별공시지가 상승에 따른 것입니다. 세목별로는 재산세 787억 원, 도시계획세 260억 원, 지역자원시설세 14억 원, 지방교육세 156억 원 등입...
전승우 2014년 09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