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생활의 지혜
친구와 어울리지 못할 때는? 등록일 : 2008-10-07 13:32
부모교육은 올바른 자녀양육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첫째, 급속한 핵가족화로 ‘외동이’가 늘어나는 추세를 들 수 있다. ‘외동이’는 어른들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또래 아이들과 접촉해 본 경험이 적어 협동이나 양보, 나눔 등의 덕목을 익힐 기회가 부족하다. 또한 부모의 과잉보호로 인해 자립심이 부족하거나 나약한 성격이 되기 쉽고, ‘제멋대로’인 경우가 많아 외톨이가 되기 쉽다. 둘째, 잦은 이사, 경쟁적인 교육풍토, 친척이나 이웃과의 관계 단절,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맞벌이 등도 아이들을 외톨이로 만드는 데 일조한다. 외톨이는 ‘왕따’나 학교 폭력의 대상자가 되기 쉽고, 등교 거부나 학습장애와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가 아이의 외톨이 증세를 미리 감지하기란 쉽지 않다. 자녀들이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는데다 부모도 자녀의 학교 성적 등에는 큰 관심을 갖고 있으나 사회성 문제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녀가 외톨이가 된 후 불편과 고통을 호소할 때는 이미 대인관계에 실패해 자신감을 잃었을 가능성이 높다. 학업 부진, 잦은 결석, 우울증, 정신분열증 초기 증후와 같은 본격적인 부작용들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이나 중학생 연령대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부모는 어릴 때부터 단체생활을 통해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친구는 ‘평생의 재산’이라는 조언과 함께 자녀들의 친구 관계에 따뜻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조사 결과 외톨이 청소년들은 공통적으로 부모로부터 따뜻한 관심과 애정을 받지 못했거나 부모로부터 과잉통제를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무관심에 큰 불만을 표시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보통 부모들은 외톨이의 심각성을 인식하기 어렵다. 친구가 공부에 방해가 된다며 친구가 많은 것을 우려하는 부모라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정작 걱정해야 할 것은 아이에게 친구가 많을 때가 아니라 없을 때다. 예전에는 형제도 많고 맞벌이 부부도 적어 가족 내에서 사교성을 익힐 기회가 많았지만 요즘은 그렇지 못하다. 또 오랜 기간 홀로 지내면서 주의력 부족, 언어발달 지연, 사회부적응 현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도 부모가 이를 쉬쉬한 채 전문가 상담을 꺼리는 것도 심각한 문제. 전문가들은 ‘본격적으로 사회성이 발달하는 5∼6세부터 자녀들의 대인관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