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전남의 빈집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죠.
열 채 중 한 두 채 정도 정비가 될 뿐,
대부분은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데요.
지자체 관리가 한계에 다다르자
정부가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빈집 관리에 숨통이 트일지 주목됩니다.
최황지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아기자기한 골목 귀퉁이,
무너져 내린 건물이 보입니다.
뒤엉킨 쓰레기와 폐기물은
금방이라도 쏟아질 것 같습니다.
◀ INT ▶ *강선희 / 주민*
"너무 힘들어. 보기도 안 좋고 냄새도 나고. 여름이면 얼마나 냄새가 나겠어."
고령화와 인구소멸에
전남의 빈집 수도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판CG] 전국 빈집 가운데 전남에만
2만여 채가 몰려있고,
시군별로는 여수의 빈집이 가장 많습니다. ///
민원이 빗발치자, 여수시는
처음으로 직권 철거에 나섰습니다.
◀ INT ▶ *정미순 / 여수시 건축행정팀장*
"건축물에 대한 사유 재산권이 있기 때문에 빈집을 시에서 임의대로 철거하지 못하는 불합리성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인근 주민들은 피해를 계속 받고 있고 시에서는 항의성 민원을 받고 있고..."
여수시는 빈집 철거외에
재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빈집은 전망대로 재활용하는데
용지 매입과 리모델링에
1억 4천만 원이 들었습니다.
◀ INT ▶ *장경민, 최순희 / 관광객*
“이렇게 활용하니까 관광객들도 좀 와서 보고. 이순신 장군 업적도 기릴 수도 있고 여러 가지로 좋은 것 같아요."
◀ st-up ▶
"전망대 벽면에는 주민들이 직접 벽화를 그릴 예정이고요. 아래쪽에는 작은 꽃밭이 조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골칫거리가 관광시설로 탈바꿈해
주민들의 만족도는 높지만,
빈집 정비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건
지자체에게 부담입니다.
그러다보니 전남도에서
정비되거나 철거되는 집은
열 채 중 한 두 채에 불과합니다.
결국 현실적으로
빈집을 방치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빈집 예산을 확대하는 등
지자체의 역할을 나누기로 했습니다.
◀ SYNC ▶ *장영태 / 전남도 주거복지팀장*
"지방 이양된 사업이어서 행안부, 국토부, 농식품부에서 어느 정도 예산 지원을 안 했었거든요. (그런데) 빈집 같은 경우에는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고 해서 국가가 이걸 하려고.."
전남의 빈집은 고령화에 계속 늘고 있고,
관련 민원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올해부터 행안부가
빈집 전담팀을 본격적으로
꾸릴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빈집 정비에 활로가 트일지 주목됩니다.
MBC 뉴스 최황지입니다. ◀ END ▶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

출입처 : 여수 일반사회 및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