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추천도서
나 혼자 벌어서 산다 등록일 : 2018-06-22 11:00
‘돈 좀 모아본 언니’가 알려주는 혼자서도
여유로운 삶을 위한 1인용 재테크 수업
정은길
비즈니스북스
6월 25일
“쿨하게 혼자 벌어,
쿨하게 혼자 쓴다!”
혼자의 삶을 택했다면, 재테크는 숨 쉬듯 매일매일 해야 한다!
1OO만 원대 월급으로 서른 전에 1억 모아 내 집 마련한 부자언니가 알려주는
여유 있고 당당한 싱글 라이프를 위한 1인용 재테크 노하우!
나홀로가구 560만 넘어··· 만혼 탓 청년 1인가구 1년새 10.7%↑
20대 후반이 전체 증가세 견인··· 혁신도시 이전 영향도
1인가구 임시·일용직 비율, 전체 평균보다 8%포인트 높아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결혼을 미루거나 기피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취업자 1인 가구의 임시·일용직 비율은 하락하는 추세지만, 전체 취업자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561만3천 가구로 1년 전보다 17만9천 가구(3.3%) 늘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보다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8.1%에서 28.7%로 상승했다.
취업자인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중장년층인 50∼64세가 26.5%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39세(23.7%), 40∼49세(21.0%), 15∼29세(18.8%), 65세 이상(10.1%) 등이 뒤를 이었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가 148만6천 가구(43.3%)로 가장 많았다.
최근에는 나이가 어리고 교육 정도가 높은 청년층 1인 가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년과 비교하면 15∼29세 1인 가구가 6만2천 가구(10.7%) 늘어나 전체 연령대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취업자 청년층 1인 가구는 지난해 주로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2016년 증가율(4.1%)의 두 배를 넘어섰다.
15∼29세 1인 가구가 전체 취업자 1인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7%에서 18.8%로 1.1%포인트 상승했다.
대졸 이상 취업자 1인 가구도 같은 기간 9만1천가구(6.5%) 늘어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청년층 1인 가구의 증가세는 최근 청년들의 결혼 기피 현상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취업과 동시에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해 혼자 살림을 꾸리는 청년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124만8천 가구(36.4%)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숙박음식점업(73만3천 가구·21.4%), 광·제조업(56만2천 가구·16.4%) 순이었다.
광·제조업, 건설업 등에서 비중이 늘었지만 농림어업,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시·일용직이 88만1천 가구로 전년(86만2천 가구)보다 1만9천 가구 늘었다.
전체에서 비중은 33.7%에서 32.8%로 하락했지만,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임시·일용직 비율(24.3%)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다.
1인 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2.8시간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이었다. 전체 취업자 취업시간(43.3시간)보다는 0.5시간 적었다.
임금 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 원 미만이 33.3%로 가장 많았고 100만∼200만 원 미만(29.2%), 300만∼400만 원 미만(16.3%), 100만 원 미만(11.0%), 400만 원 이상(10.1%) 등 순이었다.
100만 원 미만 업종은 주로 농림어업(48.6%)에서 많았고, 100만∼200만 원 미만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40.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1.0%) 등에서 다수 분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단순노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중 임금이 100만∼200만 원인 노동자 비중은 각각 45.3%, 44.6%, 39.4%로 높게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