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의견 시청자 의견
여수시만해도 인구 3000명넘게 감소했다! 등록일 : 2004-08-03 11:10
전남 인구 200만 ‘붕괴’
현재 1998646명 광주와 분리 18년만에…해마다 3만여명 감소
입력시간 : 2004. 08.02. 22:28
전남 인구 200만 ‘붕괴’
광주와 분리 18년만에…해마다 3만여명 감소
재정자립도 약화 경제살리기 타격 정책 초비상
매년 급감 추세를 보여온 전남도내 인구가 마침내 200만명선이 무너졌다.
이는 지난 68년 413만8천여명으로 사상 최대 인구수를 기록한 이후 36년만이며, 지난 86년 광주시와 전남도가 분리된 지 18년만의 일이다.<관련기사 3면>
2일 전남도에 따르면 7월말 현재 도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표상 인구가 199만8천646명으로 집계돼 20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남자는 99만4천840명, 여자는 100만3천80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말(201만7천730명)에 비해서도 1만9천84명이 줄어든 수치로 매년 평균 3만여명씩 감소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당분간 뚜렷한 인구증가 요인이 없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시·군 별로는 목포시와 순천시, 광양시가 지난해 말에 비해 각각 223명(0.1%), 750명(0.2%), 504명(0.4%) 증가했을 뿐, 나머지 19개 시·군은 모두 감소했다.
여수의 경우 6개월 사이 3천391명(1.1%), 고흥은 3천218명(3.5%), 신안은 2천240명(4.4%), 함평은 1천575명(3.7%)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도내 전체 인구의 14% 수준인 28만4천670명에 달해 전국 평균 8.1%에 비해 2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98년 7천여명에 그쳤던 감소폭이 99년에는 1만5천여명으로 늘더니 2000년에는 2만3천여명, 2001년부터는 전체의 1.4% 수준인 3만여명으로 급증, 도내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의 인구정책에도 초비상이 걸렸다.
200만명선 붕괴가 2년 연속 이어질 경우 행정자치부의 기구정원 규정에 따라 전남도는 현재 9개 실·국·본부, 39개 과·담당관 체제에서 2∼4개과의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인구수를 주요 산출 기준으로 삼고 있는 정부의 교부금 등 재정 지원 축소 뿐만 아니라 세수 감소에 따른 재정자립도 약화, 국내·외 투자 유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남도의 경제살리기 정책에 타격이 우려된다.
특히 노인인구 비율이 14.1%에 달하고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도 6.6%로 전국 평균의 2배에 달하는 현실에서 인구감소는 결국 복지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밖에 없어 전남도의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인구감소 추세로 보아 20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예측돼 왔지만 이를 막을 수 있는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출산율 제고 대책과 함께 관광신도시 건설 및 공공기관·기업 유치 등을 통한 인구유입책 등 장·단기 대책을 병행, 시행하겠다"고 밝혔다./김재정기자
불균형 성장정책…낙후도 전국 최고
80년 378만명 전국 10% 24년동안 47% 감소
농업환경 악화 고령화 복합요인 예견된 일
1.인구감소 요인과 현황
전남도 인구 200만명선이 붕괴되면서 앞으로 각종 부작용이 속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은 전남도의 기구축소가 불가피하고 인구수를 기준으로 지원해 온 중앙정부의 교부금 감소 뿐만 아니라 세수 감소도 현실로 다가올 것으로 분석된다. 또 인구감소 지속에 따른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에 따른 각급 학교의 통·폐합도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될 전망이다.
따라서 전남 인구 200만명선 붕괴의 원인 및 현황, 그리고 향후 파장과 대책을 시리즈로 싣는다./편집자 주
전남 지역 인구 200만명 붕괴는 수 년 전부터 예견돼 왔다.
지난 80년 전남 인구는 377만9천명으로 전국 인구의 10.1%를 차지했지만, 24년 동안 무려 47%가 감소해 2004년 7월말 현재 전국 인구의 4.1%를 점유하는 등 전남의 정치·경제적 위상이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이처럼 전남 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원인은 경제·사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수도권과 부산 중심의 불균형 성장정책으로 인해 취업기회가 줄고 연간소득의 상대적 격차가 확대되면서 낙후도가 전국 최고 수준인 전남 인구가 줄고 있다.
또 전국 농업 규모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농도 전남의 농업환경이 외국 농산물 수입 확대 등으로 악화돼 이농 인구가 급증한 것도 또 다른 원인.
무엇보다 교육·문화·정보 인프라가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상황에서 20∼30대 청장년 층의 대도시 유출 비율이 높은 데다, 인구 노령화에 따른 출산율 저하도 인구 감소를 부추기고 있다.
전국 9개 광역도 중 인구 200만명 선이 무너진 곳은 경기도와 경남·북을 제외한 6개(전남·북, 강원, 충남·북, 제주) 도로 인구 감소 현상이 지역 불균형 발전과 맞물려 진행돼 왔다는 반증에 다름 아니다.
특히 전남 인구 200만명 붕괴의 심각성은 지난 70년대부터 거의 한해도 거르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다는 데 있다. 타 도의 경우 전남과 달리 90년대 말 IMF 이후부터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집계된 주민등록상 연령별 이동 현황을 살펴 보면 청장년층의 인구 이동이 가장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3년 한햇동안 주민등록 전출자(도내 지역 이동 포함)는 총 16만1천845명으로 0∼9세 2만4천815명, 10∼19세 1만8천705명, 20∼29세 5만2천321명, 30∼39세 2만8천79명, 40∼49세 1만5천586명, 50∼59세 7천523명, 60세 이상 1만4천816명으로 청장년 층의 이동이 59.3%에 달했다.
또 전입지역도 광주 36.2%를 비롯해 경기도 19.1%, 서울 18.8%, 전북 5,7%, 인천 4.1% 등 대도시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
22개 일선 시·군 내에서도 시 지역과 군 지역의 인구편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인구감소의 또 다른 특징이다.
산업단지가 밀집돼 있는 순천과 광양은 인구 감소율이 적거나 오히려 증가하고 있지만, 농·어촌이 많은 군 지역은 인구감소율이 높기 때문이다.
결국 자녀 교육과 일자리, 문화 혜택 등 사회 전반적인 문제가 전남 인구 유출에 가속도를 내게 하고 있다./김재정기자
무등일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