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여수 세계박람회장의 조속한 공공개발을 위해
지역 사회 내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소식
전해 드렸는데요.
현재 논란의 가장 큰 핵심은 개발 주체가
항만공사와 여수시 가운데
어디가 더 적합한가인데
지역 정치권까지 가세해 논란만 키우고 있습니다.
김주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여수 세계박람회장의 사후활용은
여수 세계박람회가 폐막한 지난 2012년 이후부터
꾸준히 논의돼 왔습니다.
지난 10여년 동안 박람회 정신을 살리면서,
여수의 미래를 담아낼 수 있는
방향성을 정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치열한 고민들도 계속돼 왔습니다.
오랜 숙고 끝에 도출된 방안은 바로 공공개발.
그리고 지난 2020년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박람회 재단을 인수해
박람회장 개발의 주체가 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됐습니다.
항만공사가 박람회장을 개발하게 되면,
앞으로 국비 지원을 통해
다양한 개발 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다는 게
최대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또한, 해수부 산하 공기업인 만큼
현재 가장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부채 탕감 또는 유예,
부지 양도가 용이할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INT▶1'20"
"국가기관들끼리는 충분히 장기로 나눠서 매입한다든가
또는 임대를 한다든가 이런 것들에 훨씬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런 장점들이 있는 거죠."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반대 논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여수세계박람회의 정신을 구현하고,
지역 내 관광 문화 컨텐츠를 연계해
상승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해서는
여수시가 직접 공공 개발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박람회 재단의 3600억여원의 부채 역시
항만공사가 유예 또는 탕감받고,
부지 양도를 받을 수 있다면,
여수시도 얼마든지 협의 조정의 여지가 있다는 논리입니다.
◀INT▶ 4'25"
"3,650억 원만 지불하면 되는 거고요. 땅값 뭐 이렇게 얘기
하는데 땅과 건물은 지금 박람회 재단 소유로 되어있기 때문에
박람회 재단을 인수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올 수
있는 것이죠. 그런 문제는 얼마든지 풀 수 있는 문제고요."
그럼에도 양측 각각의 논리 속에는 우려도 있습니다.
개발 주체가 항만공사가 됐을 때
박람회 정신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고
자칫 부동산 장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와,
개발 주체가 여수시가 됐을 때
열악한 지방 재정 때문에
정상적인 박람회장 개발 사업이 어려워 질 것이라는 우려가
양존하고 있습니다.
여수세계박람회장의 공공개발 주체 선정을 두고 확산하는
지역 내 첨예한 입장 차이.
여기에 지역구 국회의원들까지 가세해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모양새로
왜곡돼 투영되면서
사안의 본질마저 크게 변질될 처지에 놓였습니다.
MBC NEWS 김주희입니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