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10년 전 개최됐던 여수 세계박람회는
여수를 관광객 천4백만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한
디딤돌 역할을 했습니다.
성공적으로 개최된 행사였지만 정작 여수 박람회장은
아직 사후 활용의 방향성조차 설정하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사후 활용을 위한 지역 사회 내 공론화의 절차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김주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난 달 22일 여수 세계박람회장입니다.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 10주년을 맞아
공연 행사와 학술 행사 등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됐습니다.
행사는 개최 기간 동안 18만8천여 명이 다녀가는 등
성공적으로 치러졌습니다.
민선 8기가 출범에 맞춰 화려하게 치러진
여수 세계박람회 10주년 행사.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사정이 조금 달라집니다.
현재 박람회장의 관리 주체인 박람회재단은
심각한 운영난에 시달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수 세계박람회장의 연간 소요 운영비는 100억 여원인데
자체 임대 수입은 70억 여원에 불과합니다.
여기에 올해들어 정부 지원마저 아예 끊긴 상태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박람회재단은
박람회장의 개발은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INT▶
"대략 30억 원쯤 비죠. 30억 원쯤 부족한 예산을 차입을 하거나
또는 도 정부나 시 정부에 지원 요청을 해서 가름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죠."
이처럼 박람회장 개발이 안갯속 상황에 이르게 된데는
해수부의 공공개발 재무 타당성 용역을 근거로 한
사후 활용 주체 결정이
지역 사회 내 이견 속에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람회 정신과 주제를 살릴 수 있는
사후 활용의 주체의 적정성을 두고
여수광양항만공사와 여수시로 여론이 양분된 상황에서
지역 정치권의 함수 관계까지 더해지면서 공전하고 있는 겁니다.
지역 내 일부에서는
이제 더이상 소모적 논쟁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공론화의 절차를 벌이자고 주장합니다.
◀INT▶
"정치권 안에서 의회라든가 시 정부 차원에서 박람회장 사후 활용에
관한 어떤 세미나도 어떤 토론회도 한 번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저를 포함해서 정치인들의 책임이 크다고 보죠."
10년 째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는 여수 세계박람회장의 사후 활용.
이젠 더 이상의 소모적 논쟁을 중단하고
공개적인 토론과 의견 수렴의 절차를 거쳐
합리적 해법을 찾아가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MBC NEWS 김주희입니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