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둘러싸고
산업계와 노동계는 물론 정부와 여당사이에서도 논란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재해가 빈발하는 각 지역 산업현장의 반발이 심상치 않은데요,
이유가 무엇인지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취임 뒤 개혁과제의 하나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에 큰 의미를 부여했던
문재인 대통령.
최근 이뤄진 신임 국토부 장관 임명식 때도
현장안전을 다시 강조해 법제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제출안 관련 법안 내용을 두고 지역에서도 논란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 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범위와 대상이 축소돼 노동현장의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는 겁니다.
////////////////////////////////////////////
법안을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따져볼 때
홀로 일하는 현장여건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관계 공무원들의 처벌 역시 힘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게다가 중대재해 대부분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해당 사업장에 유예기간을 적용한 것도 법안 취지를 훼손시킨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안전책임를 부과하는 대상이 축소될 것이란
전망도 노동계가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
사업주가 시설, 설비의 소유권이나 관리권이
없을 경우 처벌을 면할 수 있게 돼 기존 산업안전보건법보다 후퇴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
◀INT▶
조대익 사무국장(광주전남건설기계지부):
(장비를) 소유를 하고 있지만 건설현장에 들어오면 건설사의 지시에 100% 통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안전문제를 비롯한 모든 문제에 대해서 권한과 책임을 동시에 행사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은 여수와 광양의 특성 상 실효성 있는 내용이 담겨야 한다는 주장이 더욱 거셀수 밖에 없습니다.
여당 내에서도 정부 안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고
산업현장이 밀집한 각 지역의 반발도
갈수록 고조되고 있어
법제화의 과정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MBC뉴스 김종수입니다.
◀END▶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