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중소도시의 버스 터미널들이 민영과 공영체제 사이에서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용승객들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운영타산이 맞지 않자 운영자들이 잇따라 손을 떼고있는 상황인데요.
이로인해 시군이 운영권을 떠맞는 상황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고질적인 적자상황 앞에서
지자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장터 부근에 마련된 협소한 가건물.
기존 광양버스터미널의 운영이 중단되면서
시가 인근 주차장을 활용해 만든 임시매표소입니다.
S/U)
보시는 것처럼 임시터미널의 시설이 열악하다보니 승객들의 불편도 쌓이고 있습니다.
◀INT▶
김순자(임시매표소 직원):
화장실이 아무래도 이동식이잖아요.(승객들이) 그것을 좀 불편해하고 벌레들이 많으니까..비가 왔을 때 특히..
이런 가운데 광양시가 다음 달부터
기존 버스터미널을 직영하기로 결정하면서
불편은 줄게 됐지만 걱정은 이제부텁니다.
터미널의 고질적인 적자구조 때문입니다.
실제로 도내 48곳의 터미널 가운데
구례와 강진 등 6곳이 직영체제로 전환됐는데
적자 폭이 줄지 않고 있는 데다
코로나19란 악재까지 겹쳐 부담은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광양시가 직영에 들어간 뒤 추정되는
고정지출만 한 달 평균 5천여 만 원에 달합니다.
그러나 농어촌과 산간벽지 등 취약노선과 달리 터미널 운영에는 정부와 전라남도의 지원받을수 없어 지자체의 예산 부담이 커질수 밖에 없습니다.
◀INT▶
오재화 팀장(광양시 교통행정팀):
시에서 운영하는 것도 일정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교통복지 측면에서 접근한다면 정부 차원에서 지원도 검토가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 시 차원에서도 건의를 하겠습니다.
게다가 민간업체가 사업을 포기할 경우
시민들의 불편 이 커질 수 있어
지자체들은 적자보전과 직접운영 외에
마땅한 대책도 없는 상황.
수익성이 떨어지는 버스터미널 운영을 놓고
중소 지자체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민들의 보편적인 이동권 확보를 위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김종수입니다.
◀END▶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