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사랑의 식당'이라고도 불리는
노인 무료급식소들이
운영비가 부족해 힘겨워하고 있습니다.
인건비나 운영비 지원이 거의 없다보니
보조금을 편법으로 돌려쓰거나
횡령하는 경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구조적 문제가 무료급식이 꼭 필요한
어르신들의 밥상을 부실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인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VCR▶
광주의 한 유명 노인무료급식소입니다.
그동안 노인 1 명당 한끼 지원액에 비해
식단이 매우 부실하다는 지적이 일어왔습니다.
◀INT▶
급식소 이용노인 (음성변조)
"한 10년 다녔어요. 반찬이 그냥 냄새도 나고 생선은 그냥 썩은 걸 가져다 넣고 그러더니 (열흘 전 구청 점검 뒤부터) 잘 나오더라고."
부실한 식단의 뒤에는
노인급식비로 지원된 보조금 6억원에 대해
'카드깡' 횡령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결국 구청은 무료급식소를 수사 의뢰했습니다.
◀INT▶
이 모 씨/ 무료급식소 관계자 (음성 변조)
"전혀 그런 거 한 적 없어요. 그런 일은..무슨 그런 일을 한대요? 그런 일 없어요. 제가 지금 바쁘거든요?"
광주의 또다른 노인무료급식소입니다.
인건비가 없어 영양사를 따로 두지 못했습니다.
집단급식소에 해당하지 않아
위생검사를 할 법적 근거가 없습니다.
위생 사각지대인 겁니다.
다른 급식소들 상황도 대체로 비슷합니다.
현장 관계자들은
광주시 보조금은 밥값만 지원하고 있어,
시설 운영비와 인건비 마련이 힘들고,
결국 편법운영을 부추긴다고 지적합니다.
◀INT▶
조영도 이사/ 사랑의식당 운영 사회복지법인
"그런 문제 때문에 횡령이랄지 그런 문제가 불거진 곳도 있다고 들었거든요.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곳도 있고. (현장에서 듣고 있다) "
(투명c.g)전라남도는 올초, 이런 지적을 반영해
급식비 지원 단가를 4000원으로 올리고,
보조금의 20%를 운영비와 인건비로 탄력적으로
쓸 수 있게 규정을 완화했습니다.
(투명c.g) 밥값 외엔 보조금 5 % 안에서
물품구입비로만 쓰도록 제한한 광주시와
대조됩니다.
◀INT▶
정영숙 전라남도 화순군 노인일자리 팀장/
"부식비로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올해 이렇게 인건비나 부대경비로 쓸 수 있으니까 (현장에서) 좋아들 하십니다."
매끼를 무료급식에 맡기고 있는
저소득층 노인들의 영양과 건강이,
광주시의 현실성 없는 행정과
급식소들의 운영난 속에 위협받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인정입니다.
◀END▶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