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프랜차이즈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던 '동네 빵집'이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정성과 열정으로 극복하며,
소비자들의 사랑을 되찾고 있습니다.
조현성 기자
(모락모락)
갓 구워낸 빵의 고소하면서도 향긋한 냄새
일일히 손으로 치대서 반죽을 빚고,
이스트가 아닌 천연 효모로 발효를 시켜
만들어 낸 빵들입니다.
빵 종류만 150여 가지
프랜차이즈가 아닌데도 이렇게 다양한
빵을 낼 수 있는 것은, 형제가 함께
빵을 굽기에 가능합니다.
제빵사 아버지로부터 빵 굽는 기술과 철학을
배운 형제는 아버지의 명예를 위해 빵집을
키워내고 싶습니다.
◀INT▶
"1982 들어간 이유가 아버지가 시작한 연도...
프랜차이즈인줄 아시더라고요...그러면 기분좋아요"
(화면 전환)
대로변이 아닌 신도심 이면도로에 자리한
작은 이 빵집
여느 빵집과 다르게, 오후 3시 느지막하게
식빵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부피가 큰 식빵은 아침 일찍 구워내는 게
작업 일정상 편하지만, 당일 저녁에는 거의
빵을 먹지않는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까지
세심하게 고려해 빵을 굽는 것입니다.
◀INT▶
"퇴근하는 길에 아빠들이 식빵 사가서 그 다음 날 아침에 먹고 나갈 수 있게"
환자들을 위한 '100% 통밀빵' 등 맞춤형 빵들도 동네빵집의 이른바 오너쉐프가 아니면
구워낼 수 없습니다
(cg) 이처럼 광주에서 운영되고있는
이른바 동네빵집은 모두 259곳으로 지난 연말 이후 8달 동안에만 20곳이 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줄곧 감소세를 보여오다,
2년 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이후
다시 증가세로 반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인의 정성과 손맛이 숨어있고,
이웃간 관계가 맺어지는 동네빵집
각종 프랜차이즈들이 난립하는 현실 속에서
동네빵집의 가치가 다시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엠비씨 뉴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