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교육정책을 수립할 때 실질적 수요자인
학생들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학생들이 직접 교육정책을
제안하는 자리가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김양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9시 등교'는 경기도교육청이 지난해
처음으로 시작한 이후 전국으로 확산됐습니다.학생들이 교육감에게 제안했던 교육정책이
일선 학교에서 시행된 첫 사례입니다.
s/u 전남에서도 교육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습니다.그동안 교육정책의 대상으로만 여겨져 왔던
학생들이 정책 제안자가 됐습니다.
학생들은 주입식 교육을 벗어나기 위해
오전에 이론수업, 오후엔 체험*토론 수업
강화를 제안했습니다.
◀INT▶ 나을희
/학생들이 오전부터 오후까지 이론만 배우고
있는데 그런식으로 해서는 사회에 나갔을 때
실천을 하기 힘들다고 생각해서.//
학생교육의회 설립이라는 독특한 의견도
나왔습니다.교육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단 겁니다.
◀INT▶ 소철한
/학생교육의회를 만들고 학생들이 참여를 해서
전남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의견을 내고
학생이 정책에 조언을 해서..//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전남 교육정책,
학생인권 등 5개 분야에 학생들의 눈으로
바라본 24가지 교육정책이 제안됐습니다.(CG)
◀INT▶ 장만채 교육감
/고등학생들이 자기 인생, 사회현상에 대해서
자기 생각을 정리해 보고 준비하는 것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라남도교육청은 학생들이 제안한
교육정책들을 선별해 중.장기 전남 교육정책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mbc뉴스 김양훈입니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