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광주지역 일부 노인요양병원들이
고령의 환자 입원을 기피하고 있습니다.
메르스 확산 여파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환자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조현성 기자
(기자)한 달 전 8순의 어머니가 장염 증세를 보여
광주의 한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김 모씨
병세가 호전돼 어머니를
집 근처의 노인요양병원에 모시려하고 있지만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인요양병원마다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를 들며
환자를 받기 힘들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SYN▶
" "(cg) 진단서에는 장염이 치료가 돼 증세가
호전되고 있다며, 병원을 옮겨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한다는 전문의 의견이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요양병원측은 김씨의 어머니가
폐렴을 앓은 전력이 있고, 열이 나는 증세를
갖고 있다는 이유로 사실상 입원을
거부했습니다.
◀SYN▶김씨는 광주에서만 세 군데 요양병원에서
퇴짜를 맞았다며, 병원들이 메르스에 대한
공포 때문에 애꿎은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SYN▶
"특정 병원에서 오는 환자 안된다...원장 지시"
이에대해 의료계 일부에서는
중소형 병원들의 특정 환자 기피 현상에 대해
만에 하나 있을 지 모를
메르스 확산 가능성의 차단이라는 측면에서
보야야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습니다.
아직은 메르스 청정지대로 남아있는
광주지역 병원계에도 메르스 공포가 거세게
불면서 특정 환자의 기피 현상으로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엠비시 뉴스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