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고 남은 석탄재에서
고부가 희소 금속인
리튬을 추출하는 원천기술을
한전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상용화 단계에 이르면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리튬을
국내에서 3분의 1 가량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
송정근 기자입니다.(기자)
물과 섞은 석탄재를
마이크로파가 나오는 기계에 넣습니다.
가열공정을 거치자
백색 황금이라 불리는'리튬'이 추출됩니다.
한전 연구원이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석탄재에서 리튬을 보다 더 많이 추출해 내는
원천 기술을 개발해 냈습니다.
(스탠드업)
기존 방식에서는 이런 탄산리튬을
석탄재에서 10% 정도 밖에 추출하지 못했지만
이번에 개발된 방법을 통해서는
90%까지 추출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이현동/한전 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
"리튬을 산과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물리화학
적인 처리 방식 통해서 고효율로 추출할 수 있
는 독자적인 기술이 되겠습니다."
(CG-1)
전기차와 휴대전화 배터리 등에 사용되는
고부가 가치 금속인 리튬은
국내에는 매장량이 없어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CG-2)그런데 한전의 기술 개발로
매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8백여만 톤의 석탄재에서
더 많은 리튬 추출이 가능해졌습니다.
기술 상용화 단계에 이르는 10년 후 쯤에는
리튬 수입량의 1/3정도인 5천 톤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터뷰)김재관/한전 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
"석탄재에 함유되어 있는 리튬, 희토류 이런 종
류의 금속들을 뽑아냄으로써 미래의 고부가가치
화를 실현할 수 있고요"
연구진은 또
리튬보다 1백배 정도 더 비싼 희토류 금속까지
동시에 뽑아 내는
기술 고도화도 추진하고 있어
성공할 경우
상당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예상됩니다. MBC뉴스 송정근입니다. ◀ANC▶
◀END▶
Copyright © Yeos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