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MBC

검색

커뮤니티 좋은생각

비리사학 임시이사들 더 큰 비리 등록일 : 2008-06-19 10:47

비리사학 임시이사들 더 큰 비리

『비리 私學 타파 명분으로 파견된 임시이사들이 더 큰 비리 저질러』

(李明熙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상임대표)

『임시이사 파견 학교들의 비리 의혹, 예의주시 중』(청와대 司正 담당자)

비리대책委, 탐라大·경인女大 등 5개 대학 비리의혹 검찰에 고발

金南成 月刊朝鮮 기자 (sulsul@chosun.com)

비리 私學 타파 내세운 임시이사들

이명희「임시이사 파견 대학 부정·비리 대책委」상임대표가(가운데) 지난 5월13일 세실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지난 15년간 左派(좌파) 세력 및 이와 연계된 인물들이 임시이사 파견이라는 방식을 통해 私學(사학)을 접수해서, 온갖 부정과 비리를 저질러 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月刊朝鮮은 「임시이사 파견 대학 부정·비리 대책위원회(이하 대책委)」가 지난 5월 초 작성한 「임시이사 파견 사학의 부패 비리에 대한 검찰 고발 및 감사원 감사청구서」를 단독 입수했다. 대책委는 「자유주의교원운동연합」(상임대표 李明熙 공주大 교수) 등 6개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단체다.

대책委가 작성한 검찰 고발장 및 감사원 감사청구서에 따르면, 임시이사가 파견됐던 상지大, 경인女大, 탐라大, 조선大, 세종大 등 24개 대학은 左派세력, 혹은 그와 연계가 있는 인사들이 학교를 장악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의 학교에서는 학교자금 횡령 혹은 유용 등의 부정과 비리가 있었던 것으로 지적됐다.

자유주의교원운동연합 李明熙(이명희) 상임대표는 『좌파 인사들이 임시이사 파견 대학들의 임시이사나 임시이사장, 총장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정상화는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임시이사 파견 대학들의 左派 측 주요 인사들을 보면, 경기大의 경우 이창복 前 열린우리당 국회의원과 안병욱 가톨릭大 교수, 광운大에는 유재현 경실련 사무총장과 지은희 前 여성부 장관, 덕성女大는 이해동 국가보안법폐지국민연대 공동대표와 양승규 의문사진상규명위원장, 상지大는 한완상 前 교육부 장관, 강만길 前 고려大 교수, 세종大는 함세웅 신부, 손혁재 참여연대 운영위원장 등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임시이사들의 비리 부패 의혹은 대략 「인사 비리」, 「각종 학교 재산 매각 비리」, 「지원금 횡령 비리」, 「임시이사 직위 남용」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대책委는 감사청구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난 5월13일 중구 태평로 세실레스토랑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李明熙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비리사학 타파를 명분으로 파견된 임시이사들이 사실은 더 큰 비리를 저질러 왔다』며 『지난 10여 년 동안 임시이사들이 파견된 사학들의 비리 의혹에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인사들을 모두 검찰에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李대표는 『임시이사 체제의 8개 사립 대학 운영 전반에 부정과 비리가 발견됐다』며 『정부 차원에서 「관선사학 특별조사팀」을 구성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 대책委는 임시이사회 체제에 있는 탐라大, 경인女大 등 5개 대학교의 비리 의혹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으며 감사원에 해당 학교에 대한 감사를 청구했다.

대책委의 기자회견 직후, 관련 「감사청구서」는 청와대 司正(사정) 부처 담당자에게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司正 부처 담당자는 『임시이사 파견 학교들의 비리 의혹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月刊朝鮮이 입수한 「감사청구서」에 실린 7개 임시이사 파견 학교의 주요 부패 비리 의혹을 학교別로 공개한다.

▣ 비리 의혹으로 설립자 퇴진시킨 상지大

李明熙 자유주의 교원운동연합 상임대표.

상지大는 1993년 설립자인 金文起(김문기) 前 이사장이 부정부패 혐의로 검찰에 구속되면서, 임시이사가 파견됐다. 상지大 교수협의회(상교협)는 『金文起 설립자 등 종전 이사들이 부정부패에 연루됐다』며 정이사들의 퇴진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들의 주장과 달리, 金文起 前 이사장은 1994년 3월8일 대법원에서 상교협이 주장한 횡령 등에 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 金 前 이사장은 부정 비리 혐의에 대해 벌금이나 추징금을 받지 않았고, 다만 업무방해죄만 인정됐다. 金文起 前 이사장은 1995년 8월15일 복권됐다.

ㆍ36억원대 부속한방병원 서울분원 건물매입 관련 비리 의혹

2002년 상지학원은 당시 시가 25억원가량의 서울市 도봉구 쌍문동 소재 건물을 상지大부속 한방병원 서울분원으로 36억원에 高價(고가) 매입했다. 현재 이 건물은 보건복지부 병원 기준에 미달돼 방치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리베이트 조성 의혹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 감사원에 감사 요청을 한 상태다.

ㆍ5억원대 임시이사장 업무추진비 편법 지급 사건

1993년 이후 현재까지 비상근 임시이사장에게 매월 고정급으로 300만원을 편법으로 지급했다. 업무추진비는 회의 및 업무 수행 경비 등을 사용 용도·일자·금액을 구체적으로 명시해 집행해야 한다. 하지만 임시이사장에게 업무추진비를 고정급으로 지급해 왔다.

ㆍ223억원대 교사棟 신축 공사비 집행 관련 비리 의혹

건물 3개 동을 신축하면서, 당초 160억원의 공사비가 설계 변경을 이유로 63억원이 증액된 223억4000여 만원이 지출됐다. 업체 선정 과정 및 공사비 증액 과정에서 리베이트 조성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ㆍ36억원대 수익용 기본재산 매각 처분 관련 비리 의혹

임시이사들은 원주市 단계동 1만6093㎡(4868평)의 토지를 『약 30억6000만원에 건축업자에게 매각(2004년 12월과 2005년 2월 소유권 이전)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땅을 매입한 건축업자는 『땅을 36억5000만원에 매입하고 3억원의 발전기금을 상지학원 측에 제공한 사실이 있다』고 반박했다(매매 당시 주변 시세는 약 48억원 수준).

ㆍ1억원대 임시이사회 관련 소송비 교비 지출 불법·비리 사건

현재까지 임시이사회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밝혀진 「이사회 결의 무효 확인 청구사건」 외 7건의 소송 경비를 상지大 및 상지영서大(상지학원 산하 전문대) 교비로 불법 지출된 것을 관할청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ㆍ일부 교수들의 정부지원금 횡령 의혹(산학협력단·㈜타오·N 종합건설 연결고리)

상지大 산학협력단(단장 : 魯모 교수)은 ㈜타오(대표이사 李모씨, 등기부상 李모 교수 대표이사)와 산학협동 및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정부 지원 연구 과제를 수의 계약을 통해 ㈜타오로 넘기고, ㈜타오는 N 건설에 하청을 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억대 횡령 및 유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ㆍ임시이사 체제하에서의 상지영서大 국고지원금 횡령 의혹

2004년 6월 상지영서大는 이공계 특성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13억8700만원을 국고보조금으로 지원받았으나 목적 사업에 사용하지 않고 이공계와 무관한 학과(관광학과·경영학과·세무회계학과)와 나누어 썼다.

또 국고보조금 사용보고서를 위조해 전액 이공계 학과에 사용한 것처럼 교육부에 보고했다. 이에 대한 민원을 제기했으나 관할청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 대법원서 무죄 판결받았지만, 설립자 복귀 못 한 경인女大

2000년 5월23일 경인女大 李相權(이상권) 교수 등 6명은 경인女大 교수협의회 노조를 결성해, 『설립자인 白彰基(백창기) 학장 등 기존 이사진이 공금 횡령과 비리를 저질렀다』며 시위를 벌였다. 관할 교육청은 2000년 6월7∼17일까지 특별감사를 벌였고, 설립자인 白 前 학장은 업무상 횡령 및 사립학교법 위반으로 고발됐다.

2006년 6월2일 대법원은 설립자 白 前 학장의 업무상 횡령 혐의에 대해서 「무죄취지」로 서울고법에 파기 환송했다.

경인女大는 2007년 임시이사 파견 사유가 해소됐다는 판정을 받고, 7명의 정이사를 선임했다. 설립자인 白彰基 前 학장은 정이사 명단에서 제외됐다. 일부 교수와 직원들이 반대한다는 이유에서다.

ㆍ임시이사 파견 후 7건의 공사비 52억여 원 중 9억3000여 만원에 대한 부패·비리 의혹

전체 공사 중 2번, 7번 공사를 낙찰받은 업체는 J종건㈜과 S테크놀로지㈜ 두 회사다. J종건㈜은 수의계약 등 경인女大 공사를 도맡은 정황으로 보아 유착 의심이 많고, 특히 경인女大 공사 전에는 연 1억원의 매출밖에 없는 소규모 업체로 알려져 경인女大 李모 사무처장과의 유착설이 있다. S테크놀로지㈜도 동일하다.

▣ 설립자 배제한 채 학교 임시이사회가 학교 매각 시도 중인 탐라大·제주산업정보大

1972년에 개교한 제주산업정보大는 학교법인 동원학원의 金東權(김동권) 前 이사장이 교비 185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2000년 6월 구속되면서 그해 12월16일에 임시이사가 선임됐다.

金東權 前 이사장이 횡령했다는 185억원은 개인 횡령이 아니라, 동원학원 산하에 4년제 대학교인 탐라大 설립 자금으로 사용됐다. 현행 회계법상 같은 학교법인이라도, 한 학교의 교비로 다른 학교를 설립하거나 투자할 경우 업무상 횡령이 된다.

金 前 이사장이 학교에서 물러나기 전 학생 수가 6000명 이상이었던 제주산업정보大는 임시이사 체제 이후 1800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다음은 이 대학교의 비리 의혹이다.

ㆍ金英昊(김영호) 前 임시이사장 대학 불법 매각 추진

金英昊 前 임시이사장은 李모씨와 「대학 양도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으로 14억원을 수취했으나 李모씨 측의 문제로 대학 매각이 무산됨. 이후 계약금 반환과 관련한 비위 의혹이 제기됐다.

ㆍ2002년 이후 임시이사회 200억원대 수익용 부동산과 주식 매각

교육인적자원부의 매각 승인과 이후 매각대금의 규모 및 사용처의 불분명 등 비위 의혹이 있으므로 진실 규명이 필요하다.

ㆍ임시이사의 영리행위 금지 위반과 관선체제 위협하는 법인감사와 직원을 각각 해임과 직위 해제

현 임시이사장인 金모 변호사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임시이사로 재직하면서 2005년 이후의 동원학원 관련 각종 소송을 수임했다. 임시이사들의 비리를 적발하고 문제를 제기한 李모 감사를 해임하고, 국회 토론회에 참석하여 임시이사 체제의 문제점을 제기한 金모 과장을 직위 해제했다.

ㆍ제주산업정보大 李모 前 사무처장이 110여 개 비자금 통장 관리 및 재직 기간 중 교비회계 관련 비리 의혹

▣ 임시이사 파견사유 해소됐으나 교육부는 정상화 유보한 대구大

대구대학교는 1993년 이사회와 교수협의회가 총장 선임 문제로 갈등을 겪으면서 분규가 발생했다. 분규가 발생하자, 당시 교육인적자원부는 1993년 6월 종합감사를 실시했다. 종합감사 결과 학교 회계 불법 사용 및 교육부 지시시항 未이행을 이유로, 1994년 2월 임시이사가 파견됐다.

대구대학교는 이전 정이사들의 노력으로 현재 파견 사유가 해소되어 교육부로부터 정상화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일부 법인 직원들의 반발로 정이사 체제 전환이 유보되고 있다. 다음은 대구대학교의 비리 의혹이다.

ㆍ법인국장 李모씨 등의 법인 산하 6개 장애인학교 교직원 인사 전횡과 청탁 비리 의혹

ㆍ2억~5억원대 인사 청탁 비리 의혹

일부 단과대학별 보직교수들이 특수교육과 및 인기 과의 교수채용 과정에서 2억∼5억원대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이 제기되어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ㆍ대구장애인교육연대 및 함께하는 장애인부모회가 교육청에 법인과 산하 학교에 대하여 제기한 300가지 의혹

임시이사 체제下에 저질러진 각종 부패·비리 의혹에 대해 대구교육청에 감사 요청을 했으나 무마됐다.

ㆍ200억원대 영덕캠퍼스 건설과 350억원대 대구대학 내 건설공사 및 40억원대 보건학교 개축 공사 진행과정 비리 의혹

ㆍ역대 교육부 장관들의 비호 아래 「대구 사회연구소」가 학교를 장악

「이사 전원은 기독교 신자라야 한다」는 정관을 「이사 중 2인 이상은 기독교 신자라야 한다」로 개정하고, 학칙 중 「기독교 정신」을 삭제해 「풍수지리과」를 설치하는 등 건학 이념과 기독교 정신을 훼손했다.

▣ 정상화 판결받았으나「民立대학」추진 중인 조선大

조선대학교는 설립자인 朴哲雄(박철웅) 前 이사장의 공금 유용, 횡령 등에 관한 의혹으로 1987년 학내 분규가 발생했다. 교육부 종합 감사 결과 1988년 임시이사가 선임됐다. 이후 1999년 대법원에서 朴哲雄 이사장은 임시이사 파견 사유였던 자신의 공금 유용과 횡령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

조선大는 교육부로부터 정상화 판정을 받았지만 임시이사진과 전·현직 대학총장 등이 반대하고 있으며, 「민립대학」을 추진하고 있다.

ㆍ李모 총장(1988∼1991)

관선이사 체제의 초대총장으로 임명돼 대학 운영과 관련한 불법·탈법 전횡을 일삼아 교육부는 「1989년 7월18일∼8월2일」까지 특별종합감사를 실시해 李모 총장 등 집행부의 해임 및 징계를 요구했다.

민족경제론·북한사회론 등 설립자 건학 이념과 상반된 교과과정을 신설해 운영하고 설립자 교육철학에 동조하는 교수 32명을 강제로 해임 조치했으며, 朴哲雄 설립자와 무관한 새로운 설립기념탑 건립을 추진했다.

ㆍ丁모 총장(1992∼1996)

조선대학교설립동지회 설립기념탑을 완공하고, 교사편찬위원회를 조직해 조선대학교 역사를 왜곡하는 「조선대학교 50년 자료집」을 발간했다. 자신의 총장 영입에 공헌한 교수를 보직교수로 임명했다.

ㆍ金모 총장(1996∼1999)

취임 후 자신의 대학 내 입지 강화를 위해 대학노조(직원)와 결탁해 온갖 특혜를 부여했으나 결국 부패·비리로 구속되어 형이 확정되자 자살했다.

ㆍ梁모 총장(1999∼2003)

丁모·金모 총장 재직 시 기획처장과 부총장으로 각각 근무한 바 있으며, 정치학 박사임을 숨기고 행정학 박사로 속여 행정학과 교수로 불법 임용된 것에 대해 교육인적자원부가 인정하고 시정을 요구했으나 당시 임시이사장 趙모씨가 묵살, 비호했다.

총장 재직기간 중 2억원을 들인 조선대학 상징 배지 변경과 1100억원대의 건설 공사 시행, 그리고 200여 명에 달하는 교원 채용과 뉴질랜드 분교 설립 등 대학운영 과정에서 제기된 부정·비리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ㆍ金모 총장(2003∼2007)

교원 인사와 관련해 청탁을 통한 정실 인사와 불법·탈법 등의 의혹이 제기되고 내부 구성원 간의 갈등을 유발했다.

ㆍ「관선사학 기념탑」

조선大의 전·현직 임시이사와 총장들은 朴哲雄 설립자 출연재산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설립동지회 특지기부금」을 근거로 『조선대학은 도민이 설립한 「민립대학」』이라고 주장하며 『조선大는 교수·직원·학생·총동창회 등으로 이루어진 조선대학교 대학자치운영협의회(대자협)가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 횡령 사건 방치, 명예박사 남발, 재단 매각 추진 중인 광운大

광운대학교는 내부구성원의 분쟁으로 이사회 기능이 상실됐고, 1997년 2월 교육인적자원부가 정치인 및 관료 출신을 중심으로 임시이사를 선임했다.

이후 임시파견사유 해소 판정을 받았으나 임시이사들은 학교 재단을 제3者에게 매각하려 하고 있다.

광운대학교에 관한 의혹들이다.

ㆍ38억원대 횡령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임시이사 체제下에서 법인금융자산 20억원과 교비 18억원 횡령 사건에 대해 임시이사회가 방치해 피의자가 도주했다. 임시이사회와 재단은 求償權(구상권)을 청구하지 않아 손실이 발생했다.

ㆍ명예박사학위 남발

광운大 개교 이래 명예박사학위 수여자 16인 중 15인이 임시이사 파견 후 수여했다. 이 중 부적격자로 추정되는 자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학위수여 과정에서 비위 사실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ㆍ1300억원대 재단 매각 추진과 건학 이념 지우기

姜모 前 임시이사장은 ㈜부영에 재단 매각을 추진하면서 의도적으로 법인사무국을 이전해 설립자 기념관과 묘역을 방치하고 광운大 창학 상징물인 대학 로고를 바꿨다.

하지만 매각엔 실패했고, 이후 現 임시이사회(이사장 이정규)가 유진그룹 柳모 회장과 「학교법인 광운학원 운영 참여에 관한 협약서」 체결을 승인했다(2008년 2월13일 개최, 매각대금 약 1300억원 추정).

이들은 柳在泌(유재필) 측 인사 4인을 교육인적자원부에 정이사로 승인해 줄 것을 요청했고, 사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심의 중이다.

▣ 정의구현사제단 咸世雄 신부와 측근들이 학교 장악한 세종大

盧武鉉 前 대통령과 악수하는 함세웅 신부.

세종大는 2003년 12월 재단이사장 가족 간의 형사고발 사건으로 학내 분규가 일어났다. 2004년 10월 당시 교육인적자원부의 종합 감사가 실시됐다. 사학분쟁조정위원회(위원장 金浩鎭)는 교육부에 임시이사 파견을 권고해 2005년 5월 2명의 정이사를 존치시키고 7명의 임시이사를 선임했다. 그 결과 임시이사인 정의구현사제단 咸世雄(함세웅) 신부와 그 측근들이 법인과 수익사업체를 장악했다.

동생과 어머니에게 횡령 혐의로 고발돼 기소된 朱明建(주명건) 前 이사장은 2007년 3월29일 대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됐다. 이에 반해 朱 前 이사장을 고소한 동생 朱將建(주장건)씨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ㆍ세종박물관 수 백억원대 국가지정 유물 등 1362점 불법 반출·반환

金浩鎭 前 임시이사장이 「2005년 9월 세종호텔 수장고 보관 세종대학교 박물관 유물 1434점을 관할청 허가 없이 崔모 목사 개인 사저로 불법 반출했다.

이후 재단 감사 李모씨의 학교자산 유출에 대한 문제 제기로 반출 유물 중 1362점이 대학 박물관으로 반환되고, 나머지 국가지정 유물인 「익선관」 등 약 72점은 행방불명 상태다. 아울러 학교법인 재산인 수 백억원대의 「세종호텔 민속박물관 유물」 행방도 밝혀야 한다.

ㆍ5억원대 임시이사장 업무추진비·퇴직금 편법 지급

관선체제 이후 현재까지 비상근 임시이사장에게 매월 급여 형식의 업무추진비(판공비 등 600만원 상당)를 편법으로 지급했다.

ㆍ㈜세종투자개발(세종호텔)·㈜한국관광용품센터·춘천세종호텔·세종서적 등 수 천억대의 재단 수익사업체 탈취 및 세종大 장악

▶金浩鎭 前 임시이사장은 ㈜한국관광용품센터에 임시이사인 咸世雄 신부 추천으로 안중근의사기념사업회 윤원일 사무총장을 이사 겸 회장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백운학 사무국장을 이사 겸 관리상무로, 전성권씨를 기획실장으로 각각 임명하고, 박춘노 법인사무국장의 추천으로 분규 주동자인 유봉철씨를 이사 겸 대표이사로 임명하면서 ㈜한국관광용품센터를 장악했다.

▶㈜세종투자개발(세종호텔)에 咸世雄 신부의 추천으로 최규희(안전기획부 출신으로 咸世雄 신부 취조 경험)를 대표이사로, 安重根기념사업회 사무국장 윤원일을 부사장으로 각각 임명해 세종호텔을 장악했다.

▶ 金浩鎭 前 임시이사장은 세종호텔 대표이사로 재직 중 횡령사고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은 朱將建을 임시이사진과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한국관광용품센터 이사와 子회사인 코빅푸드, 그리고 세종서적의 회장으로 임명했다.

ㆍ정치인과 가톨릭 신부 및 시민단체 활동가들에 의해 관선체제가 유지되는 「기독사학 세종大」

현재 세종大는 통합민주당 공천심사위원장 출신인 박재승 변호사가 임시이사장으로 있다. 참여연대 운영위원장인 손혁재 이사, 언론개혁 시민연대 공동대표인 김영호 이사, 행정도시 이전 추진위원장인 김안제 이사 등이 임시이사회를 장악하고 있다.

前 임시이사인 咸世雄 신부와 끈끈한 인맥을 형성하고 있는 양승규 대학총장, 이원우 대학기획처장, 박춘노 재단사무국장, 최규희 세종호텔 사장, 윤원일 세종호텔 부사장 등이 수익사업체에 포진하고 있어 세종大 정상화를 저해하고 있다.

세종호텔 윤원일 부회장은 법인카드로 월 3000만원 이상을 지출하면서 회사 업무와 무관한 개인적인 용도로 명품 귀금속과 양복 구입 등을 사용한 의혹이 있다. 임시이사인 정태상 변호사는 재단의 고문변호사 및 소송대리인으로 선임되어 영리활동을 한 것은 당시 대통령령인 「학교법인 임시이사의 선임 방법 등에 관한 규정」 제8조에 위배된다.

ㆍ162억원대 수의계약에 의한 부정·비리 의혹

2005년 55억원, 2006년 선로공사비 등 건축물관리비 67억원, 2007년 도장 공사 등 40억원 등 총 162억원의 수의계약에 의한 건축물 관리비 방만 집행에 대해 업자와 유착 의혹이 제기됐다.

ㆍ임시이사장 및 총장의 교직원 인사 전횡 및 불법·비리

金浩鎭 前 임시이사장은 이사회 결의와 교원인사위원회 심의 없이 독단적으로 유모 교수를 총장직무대행으로 선임했다. 金 前 임시이사장은 교원 신규임용 절차를 무시하고 재임용 탈락교수 및 분규 관련 해임교수와 의원면직 교수 등 7인을 특별 채용이라는 편법을 통해 승진 임용시켰다.

▣ 해임된 교수 편법 복직, 인사 전횡한 대구예술大

대구예술大는 2003년 4월 당시 교육인적자원부의 종합 감사를 받았다. 일부 해직교수들이 교육부에 민원을 넣은 것이 발단이었다.

교육부의 종합 감사 결과, 校舍(교사) 신축 시 공사비를 교비 회계로 지출한 것을 보전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임시이사가 파견됐다. 대구예술大의 비리 의혹은 다음과 같다.

해임 교수를 임시이사장이 편법으로 복직, 해임기간의 급여 1억 8000여 만원을 소급 지불해 교비 손실과 배임 의혹

학교법인이 파면하고,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교원징계재심위원회가 해임 처분한 李모 前 교수를 서종문 前 임시이사장이 편법으로 복직시키고 해임기간(2002.9∼2006.12) 급여 1억8000여 만 원을 소급 지불해 교비 손실을 가져왔다. 李모 교수는 대구지역의 해직교수협의회 회원으로 尹德弘(윤덕홍) 前 교육부 장관과 함께 활동했다.

ㆍ서종문 前 임시이사장의 교직원 인사 전횡

관선이사장은 고등학교에서 직원으로 근무하다 정년 퇴직한 李모씨를 대학 총장 제청 없이 임시직원(과장대우)으로 불법 채용하고, 교무처과장 겸 법인사무국장으로 선임했다. 또 대학총장의 제청 없이 또 다른 李모씨를 기획과장으로 불법 임명했으며, 결국 임명된 동인은 1억원의 공금횡령으로 현재 교도소에 수감돼 있다.●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