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백운산 국립공원 논의..해법찾기 난항

◀ANC▶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논의가

지역 내 갈등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서울대 무상양도를 막기 위한 시작점이 생존권 사수란 민감한 현안과 얽히다보니 해법찾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민선 7기 광양시의 대응에 따라 갈등양상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종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

지난 1967년 공원법 제정과 함께 추진된

국립공원 지정.



이후 자연공원법으로 관련 법규가 바뀌고

현재까지 20여 곳의 국립공원이 지정돼 있습니다.

////////////////////////////////////////////

국가의 주도 아래 경관보전이 이뤄지는 특성상

지자체의 예산부담이 줄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 점차 확대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광양에서도 2011년부터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이 본격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백운산에 위치한 서울대 남부학술림의 무상양도를 막기 위한 조치로 국립공원 지정이 검토된 것.



최근 기획재정부가 무상양도에 선을 그으면서 지역민들의 우려를 잠재우고 있지만

여전히 국립공원 지정은 찬반 양론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S/U)

130여 가구가 모여살고 있는 답곡마을 일원입니다. 이곳 주민들의 한해 수입의 절반 이상이 고로쇠 수액 채취에서 나오다보니 주민들은 백운산의 국립공원 지정을 반대할 수밖에 없습니다.



////////////////////////////////////////////

계획대로 백운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고로쇠는 물론 임산물 채취에 제약을 받게 돼

생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

////////////////////////////////////////////

현재 광양 고로쇠 채취 종사자는 480여 명.



매년 30억여 원의 소득을 얻다 보니

국립공원 지정을 통한 생존권 박탈까지 우려하고 있습니다.

////////////////////////////////////////////

◀INT▶

허항 이사(백운산고로쇠약수협회):

(국립공원 답사 과정에서) 엄청나게 제약을 따르는 것을 왜 하느냐, 하지마라, 당신들 (지정)하면 죽음이다, 이제 그 얘기를 하시더라고..



인근 구례군도 사정은 마찬가지.



지리산 국립공원 지정과 생태보전구역 확대 등으로 주민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논의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

◀SYN▶

정민호 국장(구례군 산업경제국):

다시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함에 있어서 더군다나 당사자인 구례군과 지역주민들과 아무런 협의도 없이 추진되면서 더 많은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

정치권도 이번 현안을 놓고 절충점을 찾기 위해

잰걸음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과 관련해 당사자들이

처음으로 얼굴을 맞댈 수 있도록 소통의 자리를

마련한 것.



그러나 찬반 양측의 팽팽한 의견을 취합해 결론을 내리기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게다가 주민들의 의견이 중요하다는 환경부의 입장이 전해지면서 이 문제가 장기화할 조짐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INT▶

정인화 의원(민주평화당):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들의 의견수렴이 선행돼야 하고 그 다음에 주민들의 불신감을 해소시켜주는 방안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 국립공원 지정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자료까지 배포하며 적극적인 해명에 나선 광양시.



환경보전이란 대의명분 속에 일부 지역민들의

생존권이 묻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민선 7기 광양시의 대응에 따라 지역 내 갈등양상이 전환점을 맞게 될지 주목됩니다.



MBC 뉴스 김종수입니다.

◀END▶

김종수